재활운동치료22 가동성과 신장에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2 선택적 신장. 선택적 신장 기법은 일부 근육과 관절을 선택적으로 신장시켜, 신체 전반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지만, 주변의 근육이나 고나절 제한을 개선시키는 일련의 신장 기법이다. 어떤 근육이 단축되었는지 또는 어떤 근육을 신장 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치료사는 항상 환자의 기능과 그 기능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가동성(mobility) 및 안정성(stability)의 적절한 균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근육힘줄 단위와 관절을 제한을 허용하는 결정은 영구적인 마비를 가진 환자에게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척수손상 환자가 독립적인 앉기를 수행하려면, 몸통의 안정성이 필요하다. 목뼈 레벨과 등뼈 레벨의 척수손상 환자는 허리 폄근의 능동 조절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뒤넙다리근의 신장성을 유지하거나.. 2022. 5. 27. 가동성과 신장에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 유연성(Flexibility). 유연성이란 단일관절이나 다관절에서 어떤 제한과 통증없이 쉽고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는 능력을 말한다. 관절 온전성과 함께 근육 길이와 관절 주위 연부조직의 신장성이 유연성을 결정한다. 유연성은 관절을 가로 지나는 근육 힘줄 단위의 신장성과 관련 있으며, 신장력에 대해 변형되고 이완될 수 있는 능력이다. 변형에 대한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능력뿐만 아니라, 관절운동형상학도 관련 관절의 가동범위와 개인의 전반적인 유연성에 영향을 미친다. 능동 유연성과 수동 유연성. 능동 가동성 또는 능동가동범위로 불리는 능동 유연성은 ROM을 통해 근수축에 의해 신체 분절이 움직이는 정도를 말한다. 능동 유연성은 근 수축에 의해 신체 분절이 움직이는 정도를 말한다. 능동 유연성은 근 수축에 의해 .. 2022. 5. 27.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3 두 관절근인 뒤넙다리근의 신장. 치료사의 아래쪽 손을 환자의 발뒤꿈치 아래 두고, 위쪽 손은 환자 무릎의 앞면을 잡는다. 무릎은 계속 폄으로 유지하면서 엉덩관절을 굽힘시킨다. 무릎 보조가 필요하면, 치료사의 팔꿈치를 굽혀 환자의 종아리 아래를 지지한 상태에서 손은 환자 무릎의 앞면을 가로질러 감싸 쥔다. 다른 손은 필요한 곳을 지지하거나 고정한다. 뒤넙다리근이 너무 짧아져서 무릎 폄이 제한되면, 엉덩관절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근육이 허락하는 만큼 무릎을 폄으로써 근육의 가능한 범위에 도달될 수 있다. 두 관절 근육인 넙다리곧은근의 신장. 치료 테이블의 모서리 위에 무릎관절을 굽힘한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를 취한다. 바로 누운 자세에 있을 때, 반대쪽 다리의 엉덩관절과 무릎을 굽혀 허리뼈를 .. 2022. 5. 26.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2 두 관절근인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의 신장. 위팔세갈래근이 정상에 가까운 범위를 가지고 있을 때, 환자는 이 근육의 최대범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앉거나 선 자세를 취한다. 이 근육 범위에 현저한 제한이 있을 경우, 근육의 가동범위운동은 누운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치료사의 한 손을 환자의 아래팔 먼쪽을 잡고 환자의 팔꿈치를 최대로 굽힌다. 그 다음 치료사의 다른 손으로 환자의 팔꿈치 아래에 대고 위팔을 들어올려 어깨를 굽힌다. 환자의 팔 뒷부분에 약간 불편함이 느껴질 때, 최대로 가능한 범위에 도달할 것이다. 아래팔: 엎침과 뒤침. 환자의 손목을 잡아, 엄지 손가락으로 손을 지지하고, 집게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아래팔 먼쪽을 쥔다. 다른 손으로는 팔꿈치를 고정한다. 노뼈가 자뼈 주위에서 굴러가도.. 2022. 5. 26.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