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운동치료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2

by 하랑/비가토 2022. 5. 26.
반응형

두 관절근인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의 신장. 위팔세갈래근이 정상에 가까운 범위를 가지고 있을 때, 환자는 이 근육의 최대범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앉거나 선 자세를 취한다. 이 근육 범위에 현저한 제한이 있을 경우, 근육의 가동범위운동은 누운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치료사의 한 손을 환자의 아래팔 먼쪽을 잡고 환자의 팔꿈치를 최대로 굽힌다. 그 다음 치료사의 다른 손으로 환자의 팔꿈치 아래에 대고 위팔을 들어올려 어깨를 굽힌다. 환자의 팔 뒷부분에 약간 불편함이 느껴질 때, 최대로 가능한 범위에 도달할 것이다.

아래팔: 엎침과 뒤침. 환자의 손목을 잡아, 엄지 손가락으로 손을 지지하고, 집게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아래팔 먼쪽을 쥔다. 다른 손으로는 팔꿈치를 고정한다. 노뼈가 자뼈 주위에서 굴러가도록 먼쪽 노뼈를 굴린다. 치료사의 양 손바닥 사이에 환자의 먼쪽 아래팔을 끼워 넣는다. 엎침과 뒤침은 팔꿈치 편 자세와 굽힌 자세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손은 뒤틀어 손목에 무리한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도록한다. 엎침과 뒤침은 자뼈 주위에서 노뼈를 움직이도록 조절한다.

손목: 굽힘과 폄 노쪽치우침과 자쪽치우침. 손목의 모든 움직임을 위해, 치료사의 한 손으로는 관절의 먼쪽인 환자의 손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아래팔을 고정한다. 손가락을 가로지르는 힘줄이 긴장되면, 손가락 외재근의 범위는 손목 가동범위에 영향을 줄 것이다. 손목관절의 최대가동범위를 얻기 위해, 손목을 움직일 때 손가락을 자유롭게 두도록 허용한다.

손: 손목손허리관절과 손허리뼈사이관절에서 손의 아치를 컵모양으로 만들고 평평하게 만들기. 환자의 손을 마주 본다: 환자의 손바닥에 치료사의 손가락을 대고, 환자 손등에는 치료사의 엄지두덩을 위치시킨다. 손의 아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손허리뼈를 손바닥 방향으로 굴리고, 그 다음 아치를 평평하게 하기 위해 손허리뼈를 손등 방향으로 굴린다. 대체 가능한 손의 또 다른 위치: 치료사의 한 손을 환자 손의 후면에 대고 손가락과 엄지를 이용해 환자의 손허리뼈들을 움직여 컵모양이 되도록 한다.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 관절: 굽힘, 폄, 벌림, 모음.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 관절에는 손허리손가락관절과 마디사이관절들이 포함된다. 환자의 자세에 따라 침대나 테이블 또는 치료사의 몸을 이용하여 환자의 아래팔과 손을 고정한다. 한 손으로는 두 번째 손가락과 엄지를 이용하여 몸쪽뼈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두 번째 손가락과 엄지를 이용하여 먼쪽뼈를 움직인다. 또 다른 절차. 적절한 안정성이 보장된다면, 동시에 몇몇 관절들을 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번째에서 다섯 번째까지의 손허리 손가락관절들을 움직이기 위하여, 한 손으로는 손허리뼈들은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몸쪽 마디뼈들을 동시에 운동시킨다.

손목과 손의 외재근 신장: 손가락굽힘근과 손가락폄근. 우선, 먼쪽 마디사이관절을 움직인 후 고정한다. 그 다음 몸쪽 마디사이관절을 운동시킨다. 범위의 끝에서 이 관절들을 고정한 후 손허리손가락 관절을 가능한 범위 끝까지 움직인다. 모든 손가락관절을 고정하고 손목 관절을 연장한다. 환자의 아래팔에 약간 불편함을 호소하면서 당기는 느낌이 있으면 근육은 충분히 신장된 것이다. 

 

 다리(Lower Extremity).

엉덩관절과 무릎을 동시에 시행: 굽힘과 폄. 엉덩관절 굽힘의 최대 범위에 도달하기 위해, 뒤넙다리근의 긴장이 완화되도록 무릎 또한 굽힘되어야 한다. 무릎 굽힘의 최대 범위에 도달하기 위해 넙다리곧은근의 긴장이 완화되도록 엉덩관절도 굽힘되어야 한다. 환자의 무릎아래 치료사의 위쪽 손바닥과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환자의 발뒤꿈치 밑에 치료사의 아래쪽 손을 배치시켜 환자의 다리를 보조하여 들어올린다. 무릎이 최대 범위로 구부러짐에 따라, 치료사의 손가락을 환자 허벅지의 옆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엉덩관절: 폄. 환자가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가동범위를 갖고 있다면, 엎드린 자세 또는 옆으로 누운 자세가 이용되어야 한다. 환자가 엎드린 자세일 때, 환자의 무릎 아래에 치료사의 아래쪽 손을 받친 상태에서 허벅지를 들어올리고 위쪽 손이나 팔을 이용해 환자의 골반을 고정시킨다. 환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일 때, 치료사의 아래쪽 손을 환자의 넙다리뼈 아래로 가져와 넙다리뼈 앞쪽면에 위치시키고 위쪽 손으로 골반을 고정한다. 엉덩관절 폄의 최대 가동범위 수행시 두 관절 근육인 넙다리곧은근이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으므로 무릎관절을 최대로 굽힘시키지 말아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