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운동치료22 신장운동의 결정요소와 종류 근력강화운동과 지구력 훈련과 같은 치료적 운동의 다른 형태로, 신장 중재의 효율성과 결과를 결정하는 많은 필수 요소들이 있다. 신장의 결정요소에는 신체 정렬(alignment)과 안정화(stabilization; 신장의 강도, 속도, 기간, 빈도와 방법 그리고 신경근육의 억제 또는 촉진과 기능 활동과 신장운동프로그램과의 통합 등이 있다. 치료사는 표1에 정의된 신장 중재의 결정요소를 조정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신장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고, 또 많은 환자들의 요구, 기능적 목표와 능력을 충족시킬수 있는 많은 선택을 가지고 있다. 이 결정요소들은 다음 단락에서 하나하나씩 설명될 것이다. 표1) 신장 중재의 결정요소들 정렬: 적합한 근육군에 신장력을 적용시킬 수 있는 몸통이나 팔다리의 위치 안정화: .. 2022. 6. 12. 비수축성 연부조직의 역학적 특성 비수축성 연부조직은 신체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신체 전반에 분포하고 있고, 다양한 결합조직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내의 비수축성 조직인 인대, 힘줄, 관절주머니, 근막 및 피부는 유착(adhesion)과 구축(contracture)을 쉽게 일으킬 수 있는 결합조직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관절을 지나가는 조직들의 유연성(flexibility)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조직들이 ROM를 제한하여 신장을 필요로 할 때, 신장력의 크기와 적용기간에 따라 조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리고 결합조직의 신장성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방법이 기본적인 구조적 배열을 리모델링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결합조직의 구성. 결합조직은 3종류의 섬유(콜라겐 섬유, 엘라스틴과 그물섬유)와 비섬유성 바탕 물질(.. 2022. 6. 11. 수축성 조직의 신경생리적 특성 근육힘줄 단위의 신경생리적 특성도 신장에 대한 근육의 반응에 영향을 주고, 또 근육을 신장하기 위한 신장 중재의 효율성에도 영향을 준다. 특히 근방추와 골지힘줄기관이라는 2개의 감각수용기는 역학적 수용기로서, 신장에 대한 근육의 반응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근방추(Muscle Spindle). 근방추는 근육의 주요 감각수용기(stretch receptor)로서, 빠르고 지속적인 신장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근방추의 주요 기능은 근육 길이의 변화와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근방추는 근방추속근 섬유(intrafusal muscle fiber)라 불리는 특별한 근감각 섬유로서, 감각섬유(들신경) 종말과 운동섬유(날신경) 종말로 구성된 작은 낭에 둘러싸여 있는 수용기이다. .. 2022. 6. 11. 연부조직의 특성: 고정과 신장에 대한 반응 기능 활동 시 조절이 가능한 신체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능동적인 신경근육 조절뿐만 아니라 적당한 연부조직의 수동 가동성에 의해 좌우된다. 운동(motion)은 신체 조직의 건강에 필수적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축성 요소나 비수축성 요소를 갖고 있는 근육과 다양한 종류의 결합조직(힘줄, 인대, 관절연골, 근막 그리고 피부)에 의해 연부조직이 제한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성 결손이 나타날 수 있다. 손상, 질병 또는 수술의 결과로 인한 가동성 결손의 환자나 건강한 사람 모두에 있어, 근육의 수축성 요소가 아닌, 결합조직의 신장성 감소가 ROM제한의 1차 원인이다. 조직의 형태학적 적응은 종종 고정(immobilization)으로 동반한다. 각각의 연부조직들은 고정에 반응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특성.. 2022. 5. 27.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