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운동치료22 신장운동의 적응증, 금기증 및 결과 신장운동이 적절하고 안전해야 할 몇 가지 상황이 있다. 그리고 신장이 수행되어서는 안 되는 상황도 있다. 신장 사용의 적응증 유착, 구축, 흉터조직 형성의 결과로서 연부조직이 신장성을 소실하고, 이로 인해 활동 제한(기능 제한)이나 참여 제한(장애)이 일어날 때의 가동범위의 제한이 있는 경우 제한된 운동이 예방 가능한 구조적 변형을 초래할 경우 근육 약증과 반대편 조직의 단축이 가동범위를 제한할 경우. 신장이 근육뼈대계 손상의 위험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특정 스포츠에 맞은 컨디셔닝 프로그램이나 토탈 피트니스 프로그램 안에 신장운동을 포함시킬 경우 운동 후 근육통을 줄이기 위해, 신장이 격렬한 운동 전후에 적용될 경우 신장의 금기증 뼈성 차단이 관절의 운동을 제한할 경우 최근의 골절로 뼈유합이 .. 2022. 5. 27. 자가보조 관절가동범위운동2 봉운동. 환자의 손상된 팔이 수의적 근조절은 할 수 있으나, 어깨와 팔꿈치에서 완전한 관절가동범위를 하도록 안내와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봉(지팡이, 나무막대, T막대, 또는 비슷한 물건)이 이용될 수 있다. 환자 자세의 선택은 환자의 기능적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최대한의 보호가 필요하면, 대부분의 기술들은 누운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앉거나 선 자세는 더 많은 조절을 필요로 한다. 자세는 또한 약한 근육에 대한 중력의 영향에 따라 결정된다. 처음에 환자가 대상운동을 하지 않도록 각 활동에 대한 적절한 움직임을 안내한다. 환자의 두 손으로 봉을 잡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팔이 움직임을 안내하고 조절하게 한다. 어깨 굽힘과 제자리로 되돌아오기. 두 손이 어깨 넓이로 벌어지도록.. 2022. 5. 27. 자가보조 관절가동범위운동 환자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배우자마자 바로 자기 스스로 하는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비록 근육이 약하고 마비되어 있을지라도, 환자는 손상된 부분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배울 수 있고, 안전한 한도 내에서 운동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다. 수술 후 또는 외상 이후 강한 근 수축이 금기일 때, 자가보조가동운동은 치유중인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이용된다.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 또는 능동보조가동운동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정상적 사지를 이용하는 것은 물론 다른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다. SAROM은 가정 운동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 이용된다. 자가보조. 한쪽편마비 또는 근약화의 경우 또는 외상이나 수술 후 초기 회복기 동안, 환자는 정상적인 사지를 이용하여 손상된 사지의 관절가동범위운동을 배울 수 있.. 2022. 5. 27. 지속적 수동운동 지속적 수동운동(CPM)은 조절된 관절가동범위를 통해 천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관절을 운동시키는 기계장치에 의한 수동운동이다. 이 기계장치는 신체의 거의 모든 관절들을 운동시킬 수 있으며, Robert Salter의 연구 결과로 개발되었는데, 그는 동물과 임상연구에서 지속적인 수동운동이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한 관절조직이나 연부조직의 치유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지속적 수동운동의 개발 이후, 적용 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나, 기구가 이용되어지는 상황이 서로 다르고, 다양한 연구 디자인과 함께 다양한 프로토콜이 이용되어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지속적 수동운동의 장점. 지속적 수동운동은 관절염, 구축, 관절내 골절과 같은 상태에서, 관절의 비가동성을 일으키는 부.. 2022. 5. 27.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