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관절근인 뒤넙다리근의 신장. 치료사의 아래쪽 손을 환자의 발뒤꿈치 아래 두고, 위쪽 손은 환자 무릎의 앞면을 잡는다. 무릎은 계속 폄으로 유지하면서 엉덩관절을 굽힘시킨다. 무릎 보조가 필요하면, 치료사의 팔꿈치를 굽혀 환자의 종아리 아래를 지지한 상태에서 손은 환자 무릎의 앞면을 가로질러 감싸 쥔다. 다른 손은 필요한 곳을 지지하거나 고정한다. 뒤넙다리근이 너무 짧아져서 무릎 폄이 제한되면, 엉덩관절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근육이 허락하는 만큼 무릎을 폄으로써 근육의 가능한 범위에 도달될 수 있다.
두 관절 근육인 넙다리곧은근의 신장. 치료 테이블의 모서리 위에 무릎관절을 굽힘한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를 취한다. 바로 누운 자세에 있을 때, 반대쪽 다리의 엉덩관절과 무릎을 굽혀 허리뼈를 고정하고 치료 테이블 위에 발바닥을 댄다. 엎드린 자세에 있을 때, 위쪽 손으로 골반을 고정한다. 최대 가능한 범위에 도달한 것을 의미하는 즉, 허벅지의 앞면에 조직의 저항이 느껴질 때까지 무릎을 굽힌다.
엉덩관절: 벌림과 모음. 위쪽 손은 환자의 무릎 아래에 받치고, 아래쪽 손은 발목 아래 두어 환자의 다리를 지지한다. 모음이 최대 범위까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반대쪽 다리는 약간 벌림 자세로 둔다. 엉덩관절과 무릎을 펴고 돌림은 중립으로 유지시킨 상태로 벌림시키고 모음시킨다.
엉덩관절: 안쪽돌림과 가쪽돌림. 엉덩관절과 무릎을 편 자세에서의 손의 배치와 절차. 위쪽 손을 가지고 환자 무릎 바로 위의 몸쪽을 잡고 아래쪽 손으로 발목 바로 위의 몸쪽을 잡는다. 넙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굴린다. 엉덩관절과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의 손의 배치와 절차. 환자의 엉덩관절과 무릎을 90도 굽혀 위쪽 손으로 무릎을 보조한다. 무릎이 불안정하면, 아래쪽 손으로 환자의 몸쪽 종아리와 무릎을 보조하고, 허벅지를 끌어안듯이 잡는다. 진자처럼 다리를 운동시켜서 허벅지를 돌림시킨다. 이러한 손의 자세는 무릎에 약간의 보조를 제공하나, 무릎관절이 불안정하면 조심해서 수행해야 한다.
발목: 발등굽힘 손의 배치와 절차. 위쪽 손으로 복사뼈 주위를 잡아 고정한다. 아래쪽 손은 컵모양을 만들어 환자의 발꿈치를 잡고, 치료사의 아래팔을 환자의 발바닥에 갖다 댄다. 치료사의 아래팔을 이용해 몸의 위쪽방향으로 미는 동안,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발꿈치뼈를 몸의 먼쪽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무릎이 굽힘되면, 발목관절의 최대 가동범위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무릎이 폄되면, 두관절 근육인 장딴지근이 연장될 수 있으나 장딴지근은 발등굽힘의 최대 범위를 제한할 것이다. 관절과 근육 둘 다의 가동범위를 위해, 무릎의 폄과 굽힘 두 자세에서 발등굽힘을 적용한다.
발목: 발바닥굽힘. 아래쪽 손으로 발뒤꿈치를 지지한다. 위쪽 손을 발등 위에 놓고, 발바닥 굽힘이 되도록 민다.
목말밑관절: 안쪽번짐과 가쪽번짐. 아래쪽 손의 엄지는 발꿈치의 안쪽을, 손가락들은 발꿈치의 바깥쪽을 잡는다. 발뒤꿈치를 안쪽을 향해 그리고 바깥쪽을 향해 돌린다.
가로발목뼈관절. 치료사의 한 손으로 목말뼈의 발뒤꿈치뼈를 고정한다. 다른 손으로 발배뼈와 입방뼈 주위를 잡는다. 발활이 올라가게 하고, 내려가도록 중간발을 부드럽게 돌린다.
발가락의 관절들: 굽힘과 폄 그리고 벌림과 모음: 한 손으로 움직이는 관절의 몸쪽 뼈를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먼쪽 뼈를 움직인다. 이 기술은 손가락의 관절가동범위운동과 동일하다.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는다면, 발가락의 몇몇 관절들은 동시에 운동 시킬수 있다.
목뼈(Cervical Spine). 치료사는 치료 테이블의 끝에 서서, 양손으로 환자의 뒤통수 밑을 조심스럽게 잡는다.
굽힘(앞쪽굽힘). 목에서 머리를 굽히기 위해, 턱을 잡아당겨 머리를 들어올린다. 턱을 최대로 잡아당긴 후 목뼈를 굽혀 머리가 복장뼈를 향해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폄. 머리를 뒤로 향해 기울인다.
옆굽힘과 돌림. 목뼈를 굽힘과 폄의 중립자세로 유지하면서, 환자의 머리와 목을 옆으로 굽히고, 회전시킨다.
허리뼈(Lumbar Spine)
굽힘. 환자의 두 무릎을 들어올려 무릎을 가슴쪽으로 가져간다. 척추의 굽힘은 엉덩관절을 최대로 굽히고 골반을 뒤쪽돌림 할 때 발생된다. 더 많은 굽힘범위는 치료사의 아래쪽 손으로 환자의 엉치뼈 아래를 들어올림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폄. 최대 폄을 위해 엎드린 자세. 환자의 허벅지 아래에 두 손을 두고, 골반을 앞쪽돌림하고, 척추가 폄 될 때까지 허벅지를 들어올린다.
돌림. 엉덩관절과 무릎을 구부리고 발바닥을 테이블 바닥에 댄 무릎 세우고 누운 자세. 환자의 양 무릎을 옆으로 미는데, 환자의 반대쪽 다리이음뼈가 치료 테이블에서 떨어지도록 민다. 위쪽 손으로 환자의 가슴우리를 고정한다. 반대쪽 방향으로 반복한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절가동범위운동은 복합적인 몇몇 관절들의 운동이 몇몇 면들을 횡단하는 사선 패턴, 기능적 패턴, 대각선 패턴으로 시행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 굽힘은 자쪽치우침과 동반될 수 있고, 어깨관절의 굽힘은 어깨관절의 벌림과 가쪽돌림과 동반되어질 수 있다. 머리를 빗을 때 손을 머리 뒤로 가져가는 움직임과 같은 기능 활동을 모방하는 패턴을 이용한다.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패턴은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 능동보조관절가동범위운동,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 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재활운동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동성과 신장에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2 (0) | 2022.05.27 |
---|---|
가동성과 신장에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 (0) | 2022.05.27 |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2 (0) | 2022.05.26 |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 (0) | 2022.05.26 |
관절가동범위운동 적용의 원칙과 절차 (0) | 2022.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