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적 신장. 선택적 신장 기법은 일부 근육과 관절을 선택적으로 신장시켜, 신체 전반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지만, 주변의 근육이나 고나절 제한을 개선시키는 일련의 신장 기법이다. 어떤 근육이 단축되었는지 또는 어떤 근육을 신장 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치료사는 항상 환자의 기능과 그 기능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가동성(mobility) 및 안정성(stability)의 적절한 균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근육힘줄 단위와 관절을 제한을 허용하는 결정은 영구적인 마비를 가진 환자에게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척수손상 환자가 독립적인 앉기를 수행하려면, 몸통의 안정성이 필요하다. 목뼈 레벨과 등뼈 레벨의 척수손상 환자는 허리 폄근의 능동 조절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뒤넙다리근의 신장성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일률적으로 뒤넙다리근을 신장시키고, 또 허리 폄근에서 중등도의 저가동성이 발달하도록 허용한다면, 환자는 약간 단축된 구조물 쪽으로 몸을 기울이게 될 것이고 장시간 동안 앉을 수 있는 몸통 안정성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환자는 독립적인 옷 입기와 이동을 여전히 충분한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손내재근이 신경지배를 받지 못하는 척수손상 환자의 경우에는 긴손가락굽힘근의 힘줄 작용을 이용하기 위해 손목 가동성을 유지하고, 긴손가락굽힘근의 움직임을 제한시켜 쥐기를 한다.
과신장과 과가동성. 과신장이란 근육의 정상 길이, 관절 ROM 및 주위 연부조직의 정상범위를 넘어서는 신장으로서, 과가동성을 초래할 수 있다. 과신장에 의한 선택적으로 얻어지는 과가동성은 직업상 강한 유연성이 요구되는 사람과 스포츠에 종사하는 운동선수에게 필요할 것이다. 관절의 지지 구조물과 근육의 근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활동 시 불안정적이고, 기능적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할 때, 과신장이 적용되면 종종 관절의 불안정이 초래될 수 있다. 관절의 불안정은 통증이나 근육뼈대계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연부조직의 가동성 증진을 위한 중재의 개요. 많은 치료적 중재들이 연부조직의 가동성을 향상시키고, ROM증가와 유연성 증가를 위해 고안되었다. 신장과 가동술은 제한된 연부조직의 신장성을 증진시키는 치료기법이다. 다음은 연부조직의 신장성과 관절의 가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안된 기법들이다. 도수신장 또는 기계적 신장/수동신장 또는 보조신장. 도수접촉이나 장비에 의해 그리고 지속적 외력이나 간헐적 외력, 과압박에 의한 끝범위에서의 신장력 등이 제한된 관절을 현재의 ROM을 초과하여 움직여 줌으로써 단축된 근육힘줄 단위와 관절주위의 결합조직을 길게 늘인다. 만약 환자가 최대로 이완된다면, 그것을 수동신장이라 부른다. 큰 가동범위로 관절을 움직일 때 환자가 도움을 준다면 이를 보조신장이라 부른다. 자가-신장. 치료사의 지시와 교육 이후, 환자 스스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신장운동을 자가-신장이라 부른다. 자가-신장은 종종 유연성 운동이란 용어로도 이용된다. 하지만 일부 치료사들은 유연성 운동을 가동성 저하가 없는 사람에게 시행하는 전신 컨디셔닝 프로그램의 운동에 한정하여 사용하기를 선호한다. 한편 자가-신장을 능동신장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억제 기법이나 촉진 기법을 신장운동 안에 합병했을 경우에만, 능동신장이란 용어를 사용되어 왔다. 신경근육의 촉진기법과 억제기법. 신경근육의 촉진 기법과 억제 기법들은 근육의 길이를 신장하기에 앞서 단축된 근육의 긴장을 반사적으로 이완시킨다. 근육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억제 기법의 기술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에서 많은 치료사들이 PNF 신장운동을 능동 억제기법, 능동신장운동, 촉진 신장운동과 결합하여 근육을 억제/촉진시키고 있다. 근에너지기법. 근에너지기법은 정골의학으로부터 발전된 정형도수치료기법으로서 근육과 근막의 길이를 늘이고 관절의 가동성을 증진시키는 도수치료기법의 일종이다. 이 기법은 환자의 자발적 수축과 치료사의 저항이 정교하게 이루어져 수행되는 방법이다. 신경근육의 억제 원리에 따라 등척성후 이완이란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관절 가동술/교정술. 관절 교정술은 통증을 완화하고 ROM을 제한하는 관절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관절 구조물에 적용되는 숙련된 도수치료 중재이다. 연부조직의 가동술과 교정술. 연부조직의 교정술은 근육의 신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되었고, 연부조직과 결합될 수 있는 근막 구조물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특별하고 점진적인 손의 힘 적용과 관련된다. 이런 기법에 해당되는 것은 심부마찰마사지, 근막이완술, 통증유발점 치료법 등이 있으며 뭉친 연부조직과 결합조직들을 치료사의 도수조작으로 조직의 가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경조직 가동술. 외상이나 외과적 수술 이후, 유착이나 흉터조직이 신경수막과 신경뿌리 또는 신경얼기나 말초신경의 손상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유착과 흉터조직의 긴장은 통증이나 신경학적 증세를 일으킨다. 일단 신경조직의 가동성을 검사한 후에 신경경로를 따라 선택적 신경조직 가동술을 실시한다.
'재활운동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보조 관절가동범위운동 (0) | 2022.05.27 |
---|---|
지속적 수동운동 (0) | 2022.05.27 |
가동성과 신장에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 (0) | 2022.05.27 |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3 (0) | 2022.05.26 |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2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