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운동치료

자가보조 관절가동범위운동2

by 하랑/비가토 2022. 5. 27.
반응형

봉운동. 환자의 손상된 팔이 수의적 근조절은 할 수 있으나, 어깨와 팔꿈치에서 완전한 관절가동범위를 하도록 안내와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봉(지팡이, 나무막대, T막대, 또는 비슷한 물건)이 이용될 수 있다. 환자 자세의 선택은 환자의 기능적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최대한의 보호가 필요하면, 대부분의 기술들은 누운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앉거나 선 자세는 더 많은 조절을 필요로 한다. 자세는 또한 약한 근육에 대한 중력의 영향에 따라 결정된다. 처음에 환자가 대상운동을 하지 않도록 각 활동에 대한 적절한 움직임을 안내한다. 환자의 두 손으로 봉을 잡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팔이 움직임을 안내하고 조절하게 한다.

어깨 굽힘과 제자리로 되돌아오기. 두 손이 어깨 넓이로 벌어지도록 봉을 잡는다. 가능한 팔꿈치관절을 펴도록 유지하면서, 앞과 위를 향해 막대를 가능한 범위까지 들어올린다. 견갑상완 움직임은 부드러워야 한다. 어깨뼈의 거상과 몸통의 운동은 허락하지 않도록 한다.

어깨의 가로벌림과 가로모음. 90도 어깨 굽힘까지 봉을 들어올린다. 팔꿈치를 편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능한 범위까지 몸통을 가로 질러 뒤와 앞으로 봉을 밀거나 당긴다. 몸통의 회전은 허락하지 않는다.

어깨의 안쪽돌림과 가쪽돌림. 환자의 팔을 옆에 둔 상태에서, 팔꿈치를 90도 굽힌다. 팔의 회전은 팔꿈치를 옆에 붙여 유지하면서, 몸통을 가로질러 봉을 한쪽 옆에서 다른쪽 옆으로 운동으로 수행된다. 회전은 위팔뼈에서 발생해야 한다. 팔꿈치의 굽힘과 폄을 허락하지 않는다. 어깨관절이 조금 신연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대상운동을 예방하기 위해, 작은 수건을 말아 겨드랑이에 넣고 수건이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어깨의 안쪽돌림과 가쪽돌림-다른자세. 환자 어깨를 90도 벌리고 팔꿈치를 90도 굽힌다. 가쪽돌림을 위해 봉을 환자의 머리를 향해 움직이고 안쪽돌림을 위해 봉을 허리선을 향해 움직인다.

팔꿈치의 굽힘과 폄. 환자의 아래팔은 엎침되거나 뒤침된 상태에서 두 손으로 봉을 어깨 넓이 정도로 벌어지게 잡는다. 환자에게 팔꿈치를 굽히고 펴도록 가르친다.

어깨의 젖힘. 환자는 서거나 엎드린 자세를 취한다. 엉덩이 뒤에서 두 손으로 봉을 어깨너비 정도로 벌어지게 잡고, 몸통으로부터 멀어지게 뒤를 향해 들어올린다. 환자는 몸통 운동을 피해야 한다.

움직임의 변형과 결합. 예를 들어, 환자는 봉을 엉덩이 뒤에 두고 뒤로 들어올려 어깨뼈의 날개현상, 어깨 안쪽돌림과 팔꿈치 관절 굽힘을 일으킬 수 있다.

 

 벽 오르기. 벽 오르기는 환자의 목적을 강화하기 위한 도구로, 어깨의 관절가동범위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동기부여되도록 한다. 손으로 벽 오르기를 하여 벽에 표시하는 방법은 도달한 높이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팔을 굽힘 또는 벌림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팔이 벽을 잘 올라가게 되면 환자의 발을 벽에 더 가깝게 옮겨서 시행한다. 

 

 도르래 운동. 적절하게 가르쳐진다면, 도르래 운동기구는 관절가동범위운동에서 손상된 팔을 보조하는데 있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르래는 치료사가 보조하는 관절가동범위 운동과 지속적 수동운동장치보다 더 많은 근육의 활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래서 이 보조도구는 오직 근육 활동이 요구되어질 때만 이용되어야 한다. 집에서 사용할 때, 단일 도르래는 문에 끈을 달아 그 곳에 한줄을 연결할 수 있다. 도르래는 환자의 움직이는 관절 바로 위에 설치되거나, 환자가 잡아당길 때 잡아당기는 선이 효율적으로 사지를 움직이도록 하고, 관절면이 서로 압박되지 않도록 한다. 환자는 앉거나 선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운동할 수 있다. 어깨 가동범위운동. 환자에게 각각의 손으로 손잡이를 잡도록 하고, 정상적인 손으로 끈을 잡아당겨 손상된 팔이 앞으로 들어올려지거나, 옆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어깨뼈면으로 올리도록 한다. 환자는 어깨를 으쓱하거나 몸통을 기울이지 않도록 한다. 환자에게 부드러운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고 가르친다. 팔꿉치 굽힘. 환자는 몸통 옆에 팔을 고정하고 아래팔을 들어올려 팔꿈치가 굽힘되도록 한다.

 

 스케이드보드/파우더보드. 마찰력이 없는 바닥을 이용하여 중력이나 마찰력의 저항없이 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만약 가능하면, 바퀴가 굴러가는 스케이트를 이용한다. 다른 방법으로 바닥에 파우더를 뿌리거나 사지 아래 수건을 깔아 바닥의 부드러운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어떤 운동도 수행 가능하나, 가장 공통적인 이용하는 방법은 누운 자세에서 엉덩관절의 벌림/모음, 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어깨 가로벌림/가로모음이다. 

 교대적 운동 기구. 자전거와 팔과 다리의 에르고미터 또는 교대적 운동기구와 같은 몇몇 도구들은 정상적인 사지의 힘을 이용하여 손상된 사지에서 굽힘과 폄 운동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환자의 침대나 휠체어 또는 표준 의자에 부착 가능한 도구가 이용하기 편리하다. 사지에 대한 저항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원주의 둘레도 조절될 수 있다. 교대적 운동 기구는 운동의 변수들을 변화시키거나 심박동과 피로를 측정함으로써, 교대적 운동패턴, 지구력 훈련, 그리고 근력강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