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운동치료

연부조직의 특성: 고정과 신장에 대한 반응

하랑/비가토 2022. 5. 27. 21:57
반응형

기능 활동 시 조절이 가능한 신체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능동적인 신경근육 조절뿐만 아니라 적당한 연부조직의 수동 가동성에 의해 좌우된다. 운동(motion)은 신체 조직의 건강에 필수적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축성 요소나 비수축성 요소를 갖고 있는 근육과 다양한 종류의 결합조직(힘줄, 인대, 관절연골, 근막 그리고 피부)에 의해 연부조직이 제한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성 결손이 나타날 수 있다. 손상, 질병 또는 수술의 결과로 인한 가동성 결손의 환자나 건강한 사람 모두에 있어, 근육의 수축성 요소가 아닌, 결합조직의 신장성 감소가 ROM제한의 1차 원인이다. 조직의 형태학적 적응은 종종 고정(immobilization)으로 동반한다. 각각의 연부조직들은 고정에 반응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고정 이후에 신장성을 다시 얻는 능력을 가진다. 신장 절차가 이 연부조직들에 적용될 때, 조직 온도, 긴장 및 뻣뻣함 뿐만 아니라, 신장의 방향, 속도, 강도, 기간 및 빈도 등도 다양한 연부조직의 반응과 신장프로그램의 결과에 영향을 준다. 수축성/비수축성 연부조직의 역학적인 특성과 신경생리적 특성은 조직의 길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 특성들 이외에, 신장 이후에 근육힘줄 단위의 증가된 신장성은 개인에 의해 인지되는 끝범위 통증의 시작과 같은, 신장 감각 수정의 결과라고 생각된다. 고정과 재가동에 대한 연부조직의 생체역학적, 생화학적 반응들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대부분 규명되었지만, 인체 조직의 신장성을 증가시키는 신장기법에 대한 생리학적 기전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그러나 인체 실험인 근육힘줄 조직에 대한 초음파 영상의 최근 연구는 힘줄 적응성에 대한 이전 실험의 확증을 제공했다. 근육힘줄의 특성과 고정/신장에 대한 그들의 반응에 대한 지식은 가동성 결손 환자를 위한 치료적 운동 절차에 있어서,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신장 절차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기초가 된다. 연부조직을 신장하면 탄성 변화, 점탄선 변화, 또는 소성 변화가 일어난다. 수축성 조직과 비수축성 조직은 모두 탄성과 소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근육의 경우는 수축성 요소만이 점탄성을 갖고 있다. 탄성(elasticity)은 단기간의 신장을 적용한 후 그 신장을 제거했을 때, 곧 바로 신장 이전의 길이 상태로 회복하는 능력을 말한다. 점탄성(viscoelasticity) 또는 점탄성 변형은 연부조직의 시간 의존적 특성이다. 신장이 적용된 초기에는 길이 변화와 같은 조직의 변형에 저항한다. 신장력이 지속적으로 적용되면, 점탄성은 조직의 길이 변화를 허용한다. 그리고 신장력이 제거되면, 신장 이전의 상태로 점차 되돌아간다. 소성(plasticity) 또는 소성 변형은 신장이 제거되어도, 연부조직이 새로운 상태를 가지려는 경향이다. 

 수축성 조직의 역학적 특성. 근육은 수축성 조직과 비수축성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의 수축성 요소는 조직의 수축성과 과민성을 제공한다. 근육의 주변과 안에 존재하는 비수축성 조직들은 변형되는 힘에 저항하는 능력을 포함한 결합조직과 동일한 특성을 갖고 있다. 근육의 멜빵 역할을 하는 결합조직은 근육속막이고 이것은 개별 근육섬유와 근육원섬유를 분리하는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근막이다. 근육다발막은 섬유다발을 싸고 있고, 근육바깥막은 전체 근육을 둘러싸는 근막이다. 이런 근육의 결합 조직 체계는 근육이 수동신장에 대항할 수 있는 주된 근원이다. 구축이 발생하면, 콜라겐 섬유 안이나 사이의 유착이 움직임에 저항하거나 움직임을 제한한다. 

 근육의 수축성 요소. 개별 근육들은 서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수많은 근육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근육섬유는 많은 근육원섬유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근육원섬유는 이들 안에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s)라 부르는 아주 미세한 구조물로 조성되어 있다. 근육원섬유마디는 근육원섬유의 수축성 단위로서, 액틴과 마이오신이 서로 겹쳐지는 근잔섬유(myofilaments)가 교각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근육원섬유마디가 근육 수축과 이완 능력을 제공한다. 운동단위가 자극받아 근 수축의 이루어질 때, 액틴-마이오신 근잔섬유가 서로 활주하여 능동적으로 짧아진다. 근육이 이완할 때는 교차된 다리가 다시 떨어지면서, 원래 근육 안정길이로 되돌아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