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학습 피드백(Feedback)
신체 훈련은 오래 전부터 물리치료에서 운동 지도와 기능 훈련에서 사용해왔던 전형이고, 반면에 정신 훈련은 스포츠 심리와 스포츠-관련 훈련에서 온 것이다. 2-30년 전부터, 운동 기능부전 환자에 대한 정신 훈련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 당시부터, 운동 과제에 대한 멘탈 리허설이 운동 학습의 인지 요소 즉, 무엇을 할 것인가와 언제하고 어떻게 다듬어야 할지를 생각하게 되면 강화된다고 생각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는 운동 기술의 신체적 연습을 정확히 하는 것이 정신 훈련만 하는 것보다 더 우수하다는 결과를 지지한다. 그렇지만 스포츠 훈련이나 재활에서는 정신 훈련이 신체 훈련과 함께 사용되면 신체 훈련만 하는 것보다 운동 기술 습득이 더 빨리 향상된다고 한다.
피드백. 운동 과제 훈련의 두 번째는 피드백이 운동 과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다. 피드백은 운동 기술 수행 시도중이나 수행 후에 학습자가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감각정보이다. 피드백의 각기 다른 유형을 설명하는 여러 용어가 사용된다. 피드백을 설명하는 용어는 피드백의 근원지에근거에 대한 묘사(내재적, 보강된/외재적), 피드백의 초점(수행관련 지식, 결과관련 지식), 피드백 타이밍 또는 빈도(피드백 스케줄) 등이다. 운동 지도 또는 기능 훈련 동안에, 기술 습득을 위한 피드백과 기술 저장을 위한 피드백의 효율성에 여러 가지 요인들이 피드백 유형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인지와 신체 상태 및 운동 학습 단계는 훈련 세션 동안 적용된 가장 효과적이며, 타이밍과 빈도 조정된 피드백이다. 치료사는 환자가 특별히, 기술 습득을 시작할 수준에 도달하면, 훈련하는 동안, 피드백 유형이나 피드백 스케줄에 자신의 수용성에 대한 주입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적극적 참여는 환자에게 자기-조절 감각을 증대하며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진다. 기능 훈련과 운동 지도 시에 가장 효과적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려면, 치료사가 기술 습득과 기술 저장에 피드백의 여러 유형과 스케줄이 주는 유익과 제한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내재적 피드백. 내재적 피드백은 치료사가 아닌, 학습자의 모든 감각 계통에서 기인하며, 특히 과제 목표가 달성되었다면, 그 성과이다. 일상의 삶에서, 내재적 피드백은 지속적 정보의 소스로서 사람이 새로운 운동 기술을 배우려고 노력하거나 일상활동을 할 때, 수행 지식과 결과 지식을 제공한다.
보강성 피드백. 수행에 관한 정보 또는 과제에 대한 결과는 내재적 피드백을 보강하므로, 보강 피드백이라 한다. 이는 또한 외재적 피드백 과도 같다. 내재적 피드백과는 달리, 치료사는 환자가 훈련하는 동안 받아들일 보강된 피드백의 유형, 타이밍 및 빈도를 조절한다. 보강성/외재적 피드백은 수행의 과제 중에나 종결 시, 과제 성과의 수준과 수행 수준에 대한 정보를 준다. 치료사는 여러 형태의 보강성/외재적 피드백을 가지고 그 중에서 선택하여 운동 교육과 기능 훈련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훈련 중의 환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재활 초음파 영상 장비로 상호작용하는 치료사로부터의 직접 언어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포함해서, EMG 바이오피드백 기기의 활용이 있다. 비디오 테잎을 사용해서 직전의 동작을 다시 보는 것도 보강된 시작적 피드백에 속한다.
수행 지식과 결과 지식. 지난 20~30년 동안, 임상 현장의 피드백 선택과 적용 형태가 바뀌었다. 전통적으로, 치료사는 운동 과제 고유의 감각 정보에 집중해서 과제 운동 시의 그 느낌, 예를 들어, 선 자세에서 무릎 조절로 균형을 유지하며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체중 이동시 어떤 느낌 인지를 알도록 강조한다. 동시에 치료사는 환자의 체중 이동 활동 시 자세 상태 또는 무릎 조절 등에 관한 주로 언어적 피드백을 계속 준다. 그러나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사람의 행동 결과에 집중한 것이 동작 그 자체의 세부사항에 집중하는 것보다 학습 효율성이 촉진되었음을 입증했다. 결과적으로, 치료사는 언제든지 운동 기술을 수행 결과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체중 이동의 예를 다시 보면 기능 훈련 과정에 결과 지식을 적용하기 위해, 치료사는 환자의 지지면 밖으로 다양한 위치의 물체를 향해 손을 뻗게 하여 체중 이동이 일어나게 한다. 환자에게 목표를 주면, 과제는 목표 지향이 되고 환자는 의도된 운동 결과에 관심을 집중한다. 그러므로 환자는 외부적 단서에서 접수한 피드백에 근거한 자신의 운동 효율성 분별력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