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운동치료

신장운동의 적응증, 금기증 및 결과

하랑/비가토 2022. 5. 27. 20:25
반응형

신장운동이 적절하고 안전해야 할 몇 가지 상황이 있다. 그리고 신장이 수행되어서는 안 되는 상황도 있다.

신장 사용의 적응증
유착, 구축, 흉터조직 형성의 결과로서 연부조직이 신장성을 소실하고, 이로 인해 활동 제한(기능 제한)이나 참여 제한(장애)이 일어날 때의 가동범위의 제한이 있는 경우
제한된 운동이 예방 가능한 구조적 변형을 초래할 경우
근육 약증과 반대편 조직의 단축이 가동범위를 제한할 경우. 신장이 근육뼈대계 손상의 위험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특정 스포츠에 맞은 컨디셔닝 프로그램이나 토탈 피트니스 프로그램 안에 신장운동을 포함시킬 경우
운동 후 근육통을 줄이기 위해, 신장이 격렬한 운동 전후에 적용될 경우
신장의 금기증
뼈성 차단이 관절의 운동을 제한할 경우
최근의 골절로 뼈유합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타이트한 조직과 그 주변에 급성 염증이나 감염(열과 부종)으로 연부조직의 치유를 방해할 경우
관절의 운동이나 근육의 신장 시 날카롭고, 급성의 통증이 있을 경우
연부조직의 손상이나 혈종이 관찰될 때
과가동성이 있을 때
구조적 안정성이나 신경근육 조절에서 관절의 안정성이 요구될 때
단축된 연부조직을 지닌 환자가 마비 또는 심한 근육 약증으로 기능적인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신장의 잠재적 이점과 결과.

 증가된 유연성과 ROM. 신장운동프로그램의 주요 효과와 기대 효과는 근육힘줄단위의 신장성을 회복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꼭 필요하고 바람직한 기능 활동에 요구되는 유연성과 ROM을 다시 얻거나 이루는 것이다. 다양한 신장운동, 특히 정적 PNF 신장 절차가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ROM을 증진시킨다는 증거들이 있다. 신장을 통해 ROM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전들은 근육힘줄 단위의 수축성 요소와 비수축성 요소의 생체역학적 변화와 신경학적 변화를 포함한다. 이 변화들은 증가된 근육 신장성이나 감소된 근육 강직의 결과로 간주된다. 신장 이후의 ROM 증가는 신장과 관련된 사람의 인지나 감각 내성의 변화 결과처럼 추측된다.

 전신 피트니스. 유연성과 ROM 증가 이외에, 워밍업이나 격렬한 운동 이후의 마무리 운동으로서도 신장운동을 권장한다. 전신 피트니스, 여가활동, 작업활동, 그리고 스포츠 경기를 위한 준비 활동을 위해, 신장운동이 컨디셔닝 프로그램의 일부로 고려 되어야 한다.

 기타 잠재적 이점. 치료사에 의한 신장운동의 잠재적인 이점과 결과는 연부조직 손상의 예방이나 위험 감소, 운동 후 근육통의 감소, 그리고 수행력 강화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가정들을 지지하는 증거는 설득력이 없다. 손상 예방과 운동후 근육통의 감소. 비록 유연성의 감소가 다리 근육의 근육힘줄 손상의 큰 위험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신장운동프로그램이 손상의 위험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해결되지 않았다. 격렬한 운동을 하기 전에 워밍업의 한 요소로서 신장이 손상을 예방하거나 손상의 위험을 줄인다는 연구는 거의 없다. 몇몇 논문을 재조명했던 방대한 연구들에 따르면, 격렬한 운동 직전의 신장운동이 연부조직의 손상 예방과 발생 가능성의 감소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고 했고, 또한 운동후 지연성 근육통의 심각도와 기간에도 연관성이 없다고 했다. 강화된 수행력. 다른 학자들은 신장에 영향을 주는 이점과 결과가 증가된 근력, 파워 또는 지구력, 신체 기능(걷기, 달리기, 점프 활동)의 향상과 같은 신체 수행력에 의해 강화된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피트니스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근력강화 운동을 하기 전의 신장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활동들이다. 또한 신장은 100미터 달리기나 높이뛰기와 같은, 근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을 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런 신장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다. 신체 수행력에 대한 신장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격렬한 활동 직전에 수행되는 신장(단기 신장 또는 pre-event stretching)과 몇 주 동안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신장프로그램(장기간 신장) 사이에서 구분이 있어야 한다.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후속 연구들에 따르면, 단기 신장은 강화보다 신장 직후에 근수행력(근력, 파워, 지구력)에 대한 효과가 없거나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단기 신장은 달리기나 점프와 같이, 근력을 요구하는 활동 수행에 대해 부정적 효과나 이점도 가지지 않는다. 제한된 연구를 토대로 봤을 때, 신장운동 수행은 몇 주간 이루어지는 포괄적 컨디셔닝 프로그램의 한 부분이고 유연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신체 수행력에 대한 이점을 갖고 있다. 신장된 근육 길이-장력의 관계 때문에 신장에 대한 이런 접근법은 근력이나 파워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규적으로 신장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보행의 경제력을 향상시키고, 달리기와 점프 활동과 같은 신체활동의 수행력을 강화시킨다.

반응형